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리텐션 분석의 개념은 범위 리텐션 분석이었다. 클래식 리텐션은 1일 주기라는 보수적 관점, 롤링 리텐션은 자유도가 높은 관점. 사실상 범위 리텐션 분석에서 범위를 어떻게 지정해주느냐에 따라 클래식 리텐션이나 롤링 리텐션으로 볼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들었다.
DAU, MAU에 대한 개념은 알고 있었지만 Stickness에 대한 개념은 아티클에서 처음 접하게 되었다. 고착성이라는 단어에서 주는 느낌은 안정성? 과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매출 분석에서 쓰이는 변동 계수와 상통하는 면이 있을까 싶었다. 리텐션 차트와 리텐션 커브는 본 적은 있었지만 실제로 그려볼 생각을 하니 흥미가 돌았다.
결론적으로 평소에도 생각했지만 데이터 분석 방법론이나 툴은 어디까지나 도구일뿐 도메인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하다는 걸 또 체감했다. 정확히는 문제 정의. 문제를 정의하는 것도, 지표를 어떻게 정의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 더 많이 고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자료
https://datarian.io/blog/classic-retention
클래식 리텐션 Classic Retention
AARRR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Retention, 사용자 유지와 관련한 지표 계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atarian.io
https://datarian.io/blog/rolling-retention
롤링 리텐션 Rolling(Unbounded) Retention
롤링 리텐션은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남아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Unbounded Retention 이라고도 부릅니다.
datarian.io
https://datarian.io/blog/range-retention
범위 리텐션 Range(Bracket) Retention
범위 리텐션(Range Retention)은 클래식 리텐션을 유연하게 확장한 개념입니다.
datarian.io
https://datarian.io/blog/stickiness
DAU, WAU, MAU 그리고 Stickiness 알아보기
유저들이 더 자주 접속하는 것이 중요한 비즈니스에서는 Stickiness 지표를 중요하게 봅니다.
datarian.io
https://datarian.io/blog/retention-analysis
리텐션 분석하기: 리텐션 차트와 리텐션 커브
"데이터가 지금 한 덩어린가요? 다섯 개로 쪼개보세요”
datarian.io